반려동물 관련 공부 중!

강아지 예방접종 종류와 시기는?

댕댕이꾼 2020. 9. 8. 11:59

강아지를 입양하면서

신경써줘야 하는 부분들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보호자는 항상

강아지 건강과 관련해서

예방접종을 때에 맞춰서

해줘야 하는데요,

 

강아지 예방접종 시기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니당~^^

 

 

 

강아지 예방접종 시기!!

강아지는 엄마의 젖을 먹으면서

면역력을 어느정도 형성합니다.

하지만, 모든 질병을 이겨낼

면역력을 갖춘건 아니라서

조심 또 조심해 줄수밖에 없고,

 

강아지가 어미 젖을 떼게되면

예방접종을 해줄수 있어요.

 

태어난지 6~8주부터

예방접종이 시작되며

2~3주 간격으로

총 5회 이상을 해주게 됩니다.

 

그 이후엔 1년에 한번씩 접종하구요.

 

 

 

강아지 예방접종시에는

흔히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해주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2차때엔 종합백신과 코로나

3,4차엔 종합백신과 켄넬코프

5차 종합백신과 광견병

 

강아지가 4개월이 되기전까지

예방접종을 마치게 하고 있고,

 

항체가 잘 생성된 후

강아지 4개월 이후부터

공공장소에서 활동을 권장하고 있어요.

 

 

 

강아지 예방접종 종류는

혼합백신 4종과

혼합백신 5종으로 나뉘는데

집안 생활을 하는 강아지의 경우

혼합백신 4종을 맞고 있구요.

 

 

혼합백신 4종을 살펴보면

 

디스템퍼 Distemper

개홍역으로 불리는 디스템퍼는

50% 정도의 치사율을 가지고 있는데

호흡, 소화, 신경계에 위험한 바이러스입니다.

 

 

전염성 간염 infectious Hepatitis

간과 신장, 그리고 눈, 혈관등을

공격하는 바이러스 입니다.

 

 

파보바이러스 Parvovirus

치사율이 90% 이상이라고

알려진 파보바이러스는

혈변을 동반하는 장염을 유발시키고

소화, 면역계에 상당한 영향을 줍니다.

 

 

파리인플루엔자 Parainfluenza

고열과 기침, 기관지염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는

바이러스 입니다.

 

 

 

추가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Canine Coronavirus

설사나 구토를 일으키는

강아지 코로나 장염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면

생존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켄넬코프 Kennel Cough

전염성 기관지염으로

강아지들에게 전염성

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러마리 강아지들이 지낸는 곳이면

쉽게 발생될수 있으며

켁켁 거리는 기침으로 알아차릴수 있습니다.

 

 

광견병 Rabies

치사율 100%라 알려진 광견병은

사람에게도 전염되는데

경련이나 마비, 혼수 상태 등이 일어나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강아지 예방 접종 후에는

바로 면역력이 생성되는건 아니라서

감염병이 노출될수 있는 장소

공원이나 야외활동 등은

주의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강아지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다방면의 지식을 알아갈 필요가 있는데요,

 

강아지와 관련된 전문지식도 쌓고

반려동물과 관련된 직업을 준비해 볼수 있는

자격 교육과정이 있어서

 

관심 가지는 분은 아래 교육과정 살펴보시고,

교육과정 관련 무료자료 요청해 보심 좋겠습니다.

반려동물 자격 교육과정 살펴보고

무료자료 요청하기 또는 문의 남기기

>>클릭시 신청 페이지 연결<<

 

 

 

 

 

반려동물관리사 자격증 국비지원으로 취득 가능?

그동안 포스팅하면서 반려동물관리사 자격증 취득했던걸 올렸었는데 자격증 취득에 관심있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그중 눈에 띄는 부분이 반려동물 관리사 국비지원에 대해 문의해 주신 분이 �

pet-edu.tistory.com